하효열
대표이사
건강한 마음을 위해서는 소통할 수 있는 한 사람이 꼭 필요합니다. 공감인은 여러분이 그런 한 사람을 만나는 길에 함께 하고자 하며, 우리 사회에 치유문화를 확산시키는 작은 디딤돌이 되길 바랍니다.
강서희
이사
사람은 살면서 노동을 합니다. 그리고 일터에서 다양한 이유로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공감인’을 통해 노동하는 모든 사람들이 내 마음을 들여다보고, 일상에서의 상처를 보듬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박미자
이사
“세상은 큰 잔칫집 같아도 어디에선가 늘 울고 싶은 사람들이 있어” ‘국수가 먹고 싶다’라는 시의 한 소절입니다. ‘어디에선가 늘 울고 싶은 사람들’ 곁에서 함께 울어주는 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하고, 울고 웃으며 함께 하는 공감인이 되기를 희망해 봅니다.
박현희
이사
‘나의 마음’을 만나는 일은 소중합니다. 더하여 ‘너의 마음’을 만나는 일은 따스합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이 온전히 존중받는 사회를 꿈꾸며, 우리의 마음을 돌보고 나누는 일에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하효열 대표이사
건강한 마음을 위해서는 소통할 수 있는 한 사람이 꼭 필요합니다. 공감인은 여러분이 그런 한 사람을 만나는 길에 함께 하고자 하며, 우리 사회에 치유문화를 확산시키는 작은 디딤돌이 되길 바랍니다.
하효열 대표이사
건강한 마음을 위해서는 소통할 수 있는 한 사람이 꼭 필요합니다. 공감인은 여러분이 그런 한 사람을 만나는 길에 함께 하고자 하며, 우리 사회에 치유문화를 확산시키는 작은 디딤돌이 되길 바랍니다.
강서희 이사
사람은 살면서 노동을 합니다. 그리고 일터에서 다양한 이유로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공감인’을 통해 노동하는 모든 사람들이 내 마음을 들여다보고, 일상에서의 상처를 보듬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강서희 이사
사람은 살면서 노동을 합니다. 그리고 일터에서 다양한 이유로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공감인’을 통해 노동하는 모든 사람들이 내 마음을 들여다보고, 일상에서의 상처를 보듬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박미자 이사
“세상은 큰 잔칫집 같아도 어디에선가 늘 울고 싶은 사람들이 있어” ‘국수가 먹고 싶다’라는 시의 한 소절입니다. ‘어디에선가 늘 울고 싶은 사람들’ 곁에서 함께 울어주는 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하고, 울고 웃으며 함께 하는 공감인이 되기를 희망해 봅니다.
박미자 이사
“세상은 큰 잔칫집 같아도 어디에선가 늘 울고 싶은 사람들이 있어” ‘국수가 먹고 싶다’라는 시의 한 소절입니다. ‘어디에선가 늘 울고 싶은 사람들’ 곁에서 함께 울어주는 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하고, 울고 웃으며 함께 하는 공감인이 되기를 희망해 봅니다.
박현희 이사
‘나의 마음’을 만나는 일은 소중합니다. 더하여 ‘너의 마음’을 만나는 일은 따스합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이 온전히 존중받는 사회를 꿈꾸며, 우리의 마음을 돌보고 나누는 일에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박현희 이사
‘나의 마음’을 만나는 일은 소중합니다. 더하여 ‘너의 마음’을 만나는 일은 따스합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이 온전히 존중받는 사회를 꿈꾸며, 우리의 마음을 돌보고 나누는 일에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전상렬 이사
서로가 상처 주지 않고 공감하며 얘기 나눌 수 있다면, 세상 살아가는 것이 좀 더 쉬울 것 같습니다. 공감인의 활동을 통하여 공감의 정서가 사회 여기저기에 퍼져 나가길 바랍니다.
전상렬 이사
서로가 상처 주지 않고 공감하며 얘기 나눌 수 있다면, 세상 살아가는 것이 좀 더 쉬울 것 같습니다. 공감인의 활동을 통하여 공감의 정서가 사회 여기저기에 퍼져 나가길 바랍니다.
양두환 감사
잘 사는 것이 무엇일까 고민하다 내 마음을 먼저 알아야겠구나 싶었어요. 내 마음을 먼저 알아야 내 가족도, 타인도 알 수 있겠구나 하는 곳에 닿을 수 있었고요. 영원히 닿을 수 없겠지만요.
양두환 감사
잘 사는 것이 무엇일까 고민하다 내 마음을 먼저 알아야겠구나 싶었어요. 내 마음을 먼저 알아야 내 가족도, 타인도 알 수 있겠구나 하는 곳에 닿을 수 있었고요. 영원히 닿을 수 없겠지만요.
전상렬
이사
서로가 상처 주지 않고 공감하며 얘기 나눌 수 있다면, 세상 살아가는 것이 좀 더 쉬울 것 같습니다. 공감인의 활동을 통하여 공감의 정서가 사회 여기저기에 퍼져 나가길 바랍니다.
양두환
감사
잘 사는 것이 무엇일까 고민하다 내 마음을 먼저 알아야겠구나 싶었어요. 내 마음을 먼저 알아야 내 가족도, 타인도 알 수 있겠구나 하는 곳에 닿을 수 있었고요. 영원히 닿을 수 없겠지만요.